Red Hat Certified Engineer in Red Hat OpenStack을 취득하려면 다음과 같은 태스크 수행 능력을 검증해야 합니다.
디렉터 기반 배포를 이해하고 이를 사용하여 작업
- Identity 환경 파일을 사용하여 언더클라우드에 연결
- Identity 환경 파일을 사용하여 오버클라우드에 연결
- 템플릿 파일, 환경 파일 및 기타 리소스를 사용하여 OpenStack 환경에 관한 정보 획득
- 컨테이너화된 서비스 사용
OpenStack 도메인 설정
- 프로젝트 생성
- 그룹 생성
- 사용자 생성
- 할당량(quota) 관리
리소스 생성
- 가상 머신(VM) 플레이버(flavor) 생성
- 오버클라우드에 기존 이미지 추가
- 보안 그룹 생성
- 키 페어(key pair) 생성
네트워킹 설정
- 네트워크를 생성하여 프로젝트에 할당
- 네트워크 라우터 설정
-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 설정
- Open Virtual Networks 사용
유동 IP 주소 설정
- 유동 IP 주소를 사용하도록 인스턴스 설정
- 유동 IP 주소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설정
블록 스토리지 관리
- 블록 스토리지 볼륨 생성
- 블록 스토리지 볼륨을 인스턴스에 연결
- 스토리지 볼륨 스냅샷 사용
Red Hat® Ceph Storage 사용
- Ceph Storage 설정
- Ceph Storage 모니터링
- Ceph Storage 문제 진단 및 해결
오브젝트 스토리지 사용
- Swift 컨테이너 생성
- Swift 컨테이너 활용
공유 스토리지 사용
- 공유 파일 시스템 생성
- 공유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도록 인스턴스 설정
인스턴스 관리
- 인스턴스 시작
- 인스턴스를 지정된 프로젝트 및 네트워크와 연결
- 키 페어를 사용하여 인스턴스에 연결
- 배포 중 인스턴스 설정
Heat 스택 생성
- Heat 템플릿 생성
- 손상된 Heat 템플릿 진단 및 수정
- Heat 스택 시작
이미지 사용
- 기존 이미지 수정
- 커스터마이징된 이미지를 생성하여 플레이버 연결
- 커스터마이징된 이미지에서 인스턴스 시작
- 두 번째 컴퓨팅 노드에서 인스턴스 시작
OpenStack 서비스 사용
- Identity 서비스 토큰 관리
- RabbitMQ에서 추적 활성화
- Ceilometer를 사용하여 통계 표시
Red Hat의 모든 수행 기반 시험에서와 마찬가지로, 이러한 설정은 재부팅 후에도 변경 없이 유지되어야 합니다.

